문제
정수를 저장하는 큐를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명령은 총 여섯 가지이다.
push X: 정수 X를 큐에 넣는 연산이다.
pop: 큐에서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빼고, 그 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size: 큐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empty: 큐가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front: 큐의 가장 앞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back: 큐의 가장 뒤에 있는 정수를 출력한다. 만약 큐에 들어있는 정수가 없는 경우에는 -1을 출력한다.
입력
첫째 줄에 주어지는 명령의 수 N (1 ≤ N ≤ 10,000)이 주어진다. 둘째 줄부터 N개의 줄에는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 주어지는 정수는 1보다 크거나 같고, 100,000보다 작거나 같다. 문제에 나와있지 않은 명령이 주어지는 경우는 없다.
출력
출력해야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,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풀기전 생각
C++에는 기본적으로 큐 라이브러리가 있습니다. 그렇기에 매우 간단한 코드로 만들 수 있었지만 직접 만드는 재미가 있지 않을까 싶어 구조체와 Vector로 큐 구조를 구현했습니다.
구조체 element : 구현할 큐안에 들어갈 원소
구조체 Queue: 구현할 큐 구조
로 각 연산들을 구현했습니다..
코드
#include <iostream>
#include <vector>
using namespace std;
typedef struct {
int value;
int number;
}element;
typedef struct Queue {
vector<element> q;
int count=0;
} queue;
bool is_QueEmpty(Queue* q) {
return q->count < 1;
}
int front(Queue* q) {
int result = -1;
if (is_QueEmpty(q))
return result;
result = q->q.front().value; //vector의 가장 앞 value를 반환
return result;
}
int back(Queue* q) {
int result = -1;
if (is_QueEmpty(q))
return result;
result = q->q.back().value; //vector의 가장 뒤 value를 반환
return result;
}
void push(Queue* q, int& inNum) {
element el = {inNum, q->count+1};
q->q.push_back(el);
q->count++;
}
int size(Queue* q) {
return q->count;
}
int pop(Queue* q) {
int result = -1;
if (is_QueEmpty(q)) {
return result;
}
result = q->q.front().value;
q->q.erase(q->q.begin()); //Queue의 벡터 가장 앞 요소를 삭제
q->count--;
return result;
}
void cal_Queue(Queue* q, string& s, int insertNum = -1) {
if (s == "pop") {
cout << pop(q) <<"\n";
}
else if (s == "push") {
push(q, insertNum);
}
else if (s == "front") {
cout << front(q) <<"\n";
}
else if (s == "back") {
cout << back(q) << "\n";
}
else if(s=="size"){
cout << size(q) << "\n";
}
else if (s == "empty") {
cout << is_QueEmpty(q) << "\n";
}
}
int main() {
int n;
cin >> n;
string s;
int insertNum = -1;
Queue q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cin >> s;
if (s == "push") {
cin >> insertNum;
cal_Queue(&q,s, insertNum);
}
else
cal_Queue(&q,s);
}
}
결과
push일땐 뒤에 입력을 하나 더 받아서 해당 값을 큐에 넣어주는 식으로 구조체에 Vector로 큐 구조를 표현한 코드입니다.
라이브러리로 하면 시간이 0ms로 끝나더라구요... 직접 만든건 220ms..
만약 큐를 쓰게된다면 라이브러리를 "반드시"씁시다
'백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백준] 1966번 - 프린터 큐 C++ (4) | 2024.11.12 |
---|---|
[백준] 1158번 - 요세푸스 문제 C++ (0) | 2024.11.11 |
[백준] 2231번 - 분해합 C++ (0) | 2024.06.22 |
[백준] 1978번 - 소수 찾기 C++ (0) | 2024.05.20 |
[백준] 9506번 - 약수들의 합 C++ (0) | 2024.05.20 |